SK News: US-China 'New Cold War' now a reality - where should South Korea stand?

코로나발 美·中 신냉전 이미 시작…한국은 어디 서야 하나
The new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s already begun...Where should South Korea stand?

Source: 중앙일보

Source: 중앙일보

“미국과 중국은 실질적으로 신냉전(新冷戰) 시대에 접어들었다."
"The U.S. and China have practically entered the era of the new Cold War.”

스인홍(時殷弘)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가 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신냉전. 미국에선 자주 언급된 말이다.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지위를 위협한다고 느끼면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가속화됐다. 중국 쪽 전문가는 이 단어를 좀처럼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섣부르게 미중 대립 구도를 인정해 미국과 국제사회를 자극하지 않으려는 생각에서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모든 걸 바꿔놨다. 중국 전문가도 두 나라의 갈등 상황이 이전과 다르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가 됐다.


This is what Sain Hong, a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at People's University, said in an interview with Hong Kong's South China Morning Post (SCMP) on the 5th of May. The “New Cold War” is often mentioned in the United States. This is because the U.S. feels that China threatens the statu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accelerated with President Donald Trump in power. Chineses experts rarely mentioned the word publicly. It is because China is trying not to provoke the U.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hastily acknowledging the U.S.-China confrontation. But the Wuhan Virus outbreak has changed everything. Chinese experts have also become forced to admit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different than before.

 
Source: 중앙일보

Source: 중앙일보

 

중국 정부가 가만히 있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신화통신은 미국 내 코로나19 감염 상황을 ‘트럼프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이라고 규정했다. 환구시보는 4일 사설에서 “우한 실험실에서 바이러스가 시작됐다는 것은 근거가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위해 폼페이오 장관이 중국을 악당으로 만들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양국 관계가 좋지 않을 때도 중국 언론은 미국의 일방주의, 보호무역주의만 비난했을 뿐이다. 하지만 신화통신의 '트럼프 팬데믹'을 언급 이후 중국 언론은 미국 비판의 타깃을 트럼프 행정부로 정조준하고 있다.


The Chinese Communist government is not staying still. In March, Xinhua defined the situation of the Wuhan Virus pandemic in the U.S. as "Trump Pandemic." In an editorial on May 4th, the Global Times said, "There is no basis for the virus to start in a laboratory in Wuhan," and criticized, "Secretary Pompeo is making China a villain for President Trump's reelection." Even when bilateral relations were not good due to the U.S.-China trade war, the Chinese media only criticized the U.S. unilateralism and protectionism. However, since Xinhua News Agency's mention of "Trump Pandemic," the Chinese media has been targeting the U.S. criticism at the Trump administration.

Source: 중앙일보

Source: 중앙일보

위기감이 반영된 행동이다. 로이터 통신이 입수한 중국 정부 싱크탱크 중국현대국제관계연구원(CICIR) 보고서에선 “중국의 부상을 국가 안보의 위협이자 서구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보는 미국은 중국 공산당의 신뢰를 떨어뜨리려고 애쓰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 각국의 반중 정서가 천안문 사태 이후 최악의 수준으로 치솟았기에 중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반중국 정서 확산을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미국을 때려서라도 반중 정서 확산 막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The move reflects a sense of crisis. The U.S., which views China's rise as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nd a challenge to Western democracy, is trying to undermine the confidenc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aid a report by the China Institute for Contemporary International Relations (CICIR), a Chinese government think tank obtained by Reuters, warning that China should guard against the spread of anti-Chinese sentiment led by the U.S. as anti-Chinese sentiment soared to the worst level due to the “Wuhan Virus Pandemic". China shows a willingness to prevent the spread of anti-China sentiment even by hitting the U.S.

Source: 중앙일보

Source: 중앙일보

미국도 중국 때리기를 멈출 생각이 없다. 트럼프의 마음이 급해서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희생자와 감염자가 가장 많은 나라다. 트럼프가 치적으로 내세우던 경제 성과도 물거품이 될 위기다. 그로서는 대통령 재선이 힘들까 초조해질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국무장관이다 직접 나서 “(중국이 코로나19 발원지라는)거대한 증거가 있다”고 공개 선언까지 한 배경이다. 11월 대선 전까지 극적 반전이 없다면 중국에 대한 공세는 더 강해질 수밖에 없다.


 Nor does the U.S. intend to stop hitting China. Trump's heart is in a hurry. The United States is the country with the largest number of Wuhan Virus victims and infections in the world. Trump's economic achievements are also in danger of going to nothing. For him, he has no choice but to be nervous about the difficulty of re-election of the president. This is why President Trump and Secretary of State Pompeo publicly declared, "There is enormous evidence (that China is the origin of the Wuhan Virus)." If there is no dramatic reversal before the November presidential election, the offensive against China will inevitably become stronger.



양국 전문가들이 미중 신냉전이 이미 굳어졌다고 공통으로 진단한 것엔 이런 배경이 있다. 미국 싱크탱크인 세계안보연구소 칼 루프트 소장은 "코로나19 위기가 지금껏 봐온 어떤 것보다 미·중 관계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스인홍 교수도 “미·중 신냉전은 과거 미소 냉전과 다르다”며 “미·중 관계는 더는 몇 년 전, 아니 몇 달 전의 모습과 더 같지 않다”라고 말했다.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넜다는 것이다.

This is why experts from both countries commonly diagnosed that the new Cold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already hardened. Carl Luft, director of the World Security Institute, a U.S. think tank, said, "The Wuhan Virus pandemic will have a more detrimental effect on U.S.-China relations than anything we have seen so far." Professor Sinehong also said, "The new Cold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is different from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e past," and add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is no longer the same as it was a few years ago, or months ago." It has crossed a bridge that it can’t come back from.

신냉전은 어떻게 전개될까. How will the new Cold War develop?

스 교수는 신냉전의 특징을 “무한경쟁과 급속한 디커플링(탈동조화)”로 정의했다.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모든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이 경쟁할 것이란 뜻이다. 글로벌 공급망으로 엮였던 두 나라의 공생도 어렵다. ‘첨단 기술은 미국, 제조업 대량 생산은 중국’이란 역할 분담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인공지능과 5G 분야 등에서 중국이 자신들을 넘보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방역물품 부족에 시달리면서 중국에 싼값에 ‘제조업 외주(外注)’를 준 일을 뼈저리게 후회하고 있다.

Professor Su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old War as "infinite competition and rapid decoupling." It means that the U.S. and China will compete in all areas, not just political rhetoric. It is also difficult to co-exist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were linked to a global supply chain. This is because there will be no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U.S. and China in mass production of high-tech technologies. The U.S. is wary of China crossing over them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5G. The US is deeply regretful of giving China "the manufacturing industry" at a low price as the US has suffered from a shortage of medical goods due to the pandemic.

Source: 중앙일보

Source: 중앙일보

구체적으론 당장 지난 1월 이뤄진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 합의가 깨질 공산이 크다. 중국의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 올 초만 해도 중국은 미국과의 1단계 무역 합의 내용인 '향후 2년간 2000억 달러(약 245조 원)어치 미국산 제품과 서비스 추가 구매' 약속을 지키기 위해 미국산 농산물을 적극적으로 사들였다. 하지만 3월 이후 급격하게 줄었다. 3월 2주째엔 대두 수출이 아예 없었다. 미국 역시 1단계 무역 합의에 큰 미련이 없는 듯 보인다. 홍콩 비영리 연구 단체 하인리히 재단의 스티븐 올슨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1단계 무역 합의가 재선에 유용한 자산이라고 생각했지만, 코로나 이후 상황은 완전히 뒤바뀌었다”며 “중국에 온건하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려면 중국과의 합의를 깨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Specifically,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first-phas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U.S. and China, which was reached in January, will be broken immediately. China's will is not visible. Earlier this year alone, China actively bought U.S. agricultural products to keep its promise to purchase 200 billion U.S. dollars worth of additional U.S. products and services over the next two years, in the first phase of th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However, it has declined sharply since March. In the second week of March, there was no soybean exports at all. The U.S. also does not seem to have much lingering attachment to the first-phase trade agreement. Stephen Olsen, a researcher at the Heinrich Foundation, a non-profit research group in Hong Kong, said, "President Trump thought the first-phase trade agreement was a useful asset for re-election, but the situation has completely reversed since the Wuhan Virus," adding, "If you don't want to give China a moderate impression, you might think it is necessary to break the agreement with China.


문제는 한국이다. South Korea is the problem.


한국은 미·중 사이에 끼여 이미 몇 차례 ‘경제적 몸살’을 앓았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체계 배치 때와 미·중 무역갈등이 대표적이다. 코로나 발 신냉전은 그때만큼 아니 더 어려운 상황이 될지 모른다. 당장 상황은 나쁘지 않다. 코로나 정국에서 한국의 커진 위상 때문이다. 전염병 확산을 안전하게 차단한 한국은 미·중 양국에 몸값이 높다. 중국은 1일부터 한국 기업인의 중국 입국 시 격리를 최소화하는 등 입국 절차를 간소화하는 ‘신속 통로’(패스트 트랙)를 실시하고 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지난달 29일 “호주, 인도, 일본, 뉴질랜드, 한국, 베트남 등과 협력해 세계 경제를 전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미·중 모두 코로나19 이후 경제 동맹으로 한국을 염두에 둔다는 말이다.

South Korea has already suffered several "economic illnesses" due to being caught between the U.S. and China. Examples include the deployment of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system and trade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new Cold War at started by the Wuhan Virus may be more difficult. The situation is not bad right now. This is due to South Korea's growing status in the Wuhan Virus political situation. South Korea, which safely blocke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has value to both the U.S. and China. China has been carrying out a "fast track" since May 1st, simplifying the entry process by minimizing the isolation of Korean businessmen when they enter China. Secretary of State Pompeo also noted on April 29th that he is working with Australia, India, Japan, New Zealand, South Korea and Vietnam to advance the global economy. In other words, both the U.S. and China have South Korea in mind as an economic alliance after the Wuhan Virus.

하지만 미·중 대립이 격화된다면 어떻게 될까. 최대한 막아야 하겠지만 한국으로선 양국 사이에 선택을 강요받는 순간이 올 수 있다. 코로나19보다 더 클 신냉전 위기를 넘을 지혜를 한국 정부는 가지고 있을까.

But what if the U.S.-China confrontation intensifies? It should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but for South Korea, but the time will come when South Korea will have to choose a side. Do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ve the wisdom to overcome the new Cold War crisis, which is bigger than Wuhan Virus pandemic?



[출처: 중앙일보] 코로나발 美·中 신냉전 이미 시작…한국은 어디 서야 하나

Source: https://news.joins.com/article/2377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