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탈중국 공급망, 한국과 논의했다"
US: "De-China Supply Chain discussed with South Korea"
미국이 글로벌 공급망의 탈(脫)중국을 목표로 추진 중인 `경제 번영 네트워크(Economic Prosperity Network·EPN)` 구상을 한국에도 제안했다고 키스 크라크 미 국무부 경제차관이 20일(현지시간) 밝혔다. 미 국무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크라크 차관은 이날 아시아태평양미디어허브 특별전화브리핑에서 EPN 구축과 관련해 한국의 역할과 참여 여부를 묻자 "우리는 미국, 한국 등 국가들의 단합을 위한 EPN 구상을 논의했다"면서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열린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SED)에서 한국 정부 관계자들과 한 논의를 거론했다. 크라크 차관은 "EPN이 전 세계에서 생각을 같이하는 국가, 기업, 시민사회들로 구성되며 민주적 가치들에 따라 운영된다"고 설명했다. EPN은 미국이 세계 경제 패권 경쟁에서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해 친미 국가들로 구성하려는 경제 블록을 뜻한다.
Keith Krach, the U.S. Undersecretary of State for Economic Affairs, announced on May 20th that the U.S. has also proposed to South Korea the idea of an 'economic prosperity network' (EPN), which is being pursued with the goal of removing China from the global supply chain. According to the U.S. State Department's website, when asked about South Korea's role and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the EPN at a special telephone briefing at the Asia-Pacific Media Hub, Krach said, "We discussed the idea of the EPN for the unity of the U.S.,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referring to discussions with South Korean government officials at the South Korea-U.S. high-level economic council meeting held in Seoul last November. "The EPN consists of countries, businesses and civil society that share ideas around the world and operates according to democratic values," Krach said. EPN stands for an economic bloc that the U.S. seeks to form pro-U.S. countries to isolate China in the global competition for hegemony.
이 브리핑에 함께 참여한 크리스토퍼 포드 미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차관보는 미국의 화웨이 제재를 설명한 뒤 "각국이 화웨이와 같은 중국 기술 기업들의 위협을 알아챈다면 점점 더 중국 기술 기업 생태계 바깥에서 신뢰받는 공급자를 찾을 것"이라며 "한국 삼성 같은 회사들에 기회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그러한 제안을 받았는지, 구체적으로 협의를 했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외교부는 21일 "미국이 EPN을 비롯해 글로벌 경제에 관한 다양한 구상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한국 정부에 제안한 내용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한미 양국은 지난해 말 서울에서 SED를 개최했고 이때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의 경제 분야 과제를 설명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당시 우리 측에서는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이 대표로 참석했다.
Christopher Ford,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nonproliferation, who also participated in the briefing, said, after explaining the U.S. sanctions against Huawei, "If countries recognize the threat of Chinese technology companies, such as Huawei, they will increasingly find a trusted supplier outside the ecosystem of Chinese technology companies," adding, "Companies like Samsung in South Korea will have opportunities." In response, Seoul did not clarify whether it received such a proposal from Washington or specifically discussed i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aid on May 21st, "We understand that the U.S. has various ideas on the global economy, including the EPN," but did not disclo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posal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outh Korea and the U.S. held an SED in Seoul late last year, when it was predicted that the U.S. would explain the economic challenges of its Indo-Pacific strategy. At that time, Lee Tae-ho, the second vice foreign minister, attended the meeting as a representative.
국내 기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위기를 겪는 가운데 미국의 대중국 압박 격화에 `새우등` 터지는 피해마저 입을 처지다. 키스 크라크 미국 국무부 경제차관(사진)은 중국 경제 고립 목적의 `경제 번영 네트워크(EPN)` 구상을 작년 말 서울에서 개최한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를 통해 한국에 설명했다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While South Korean businesses are suffering from a crisis due to the Corona 19 pandemic, South Korea is also facing damage from the intensifying pressure from the U.S. on China. U.S.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Economic Affairs Keith Krach said on the May 20th that he explained to South Korea the idea of the 'Economic Prosperity Network (EPN)' aimed at isolating China's economy through a high-level economic consultation meeting held in Seoul late last year.
우리 외교부는 미국의 설명 내용에 대해 구체적 언급을 피했지만, 당시 미국 측이 우리에게 EPN 참여와 구체적 역할을 요구하지는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올해 11월 대선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중국에 `코로나 책임론`을 제기하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어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의 `협조`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트럼프 정부는 그동안 중국 기술기업을 대표하는 화웨이를 제재하면서도 동맹국들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해왔다. 이와 관련해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미·중 갈등 상황에 대해 "면밀히 주시하고 있고 대응 방안도 내부적으로 마련하고 있다"며 "(미·중 갈등에 대응하는) 외교전략조정회의를 가동하기 위한 여러 가지 준비 작업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이 대중 압박 전선에 한국의 동참을 요청할 가능성이 있는 사안들을 선별해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South Korea’s Foreign Ministry declined to elaborate on the U.S. explanation, but it is believes that the U.S. did not ask South Korea to participate in the EPN and play a specific role at the time.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U.S. President Donald Trump, who is set to hold a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this year, will demand cooperation from allies such as South Korea and Japan as he has recently raised the level of offensive against China by raising the issue of "Coronavirus responsibility." While sanctioning Huawei, which represents Chinese technology companies,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been demanding its allies not to use Huawei' equipment. Regarding this, Foreign Ministry spokesman Kim In-cheol said in a regular press briefing on the 21st, "We are closely watching the situ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are preparing countermeasures internally," adding, "We are also working on various preparations to launch a diplomatic strategy coordination meeting (to cope with the U.S.-China conflict)." This is because the U.S. needs to draw up countermeasures by selecting issues that may require South Korea to join the pressure front against China.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을 위해 중국에 대한 압박과 반중 네트워크를 구축하려고 하지만, 우리가 여기에 동참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훨씬 크다. 트럼프 정부가 발표한 `미국 기술을 사용한 반도체의 중국 공급 금지`만 하더라도 메모리반도체까지 적용할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들이 큰 피해를 입게 된다. 그런데 이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산업 분야를 다루는 EPN에 끌려 들어갈 경우 대중국 수출 피해는 물론 중국의 경제 보복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고윤주 외교부 북미국장은 20일 한국언론진흥재단 토론회에서 "미·중 갈등 구조에서 어떻게 우리의 외교적 공간을 확보하는가가 실무 외교관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말했다. 게다가 우리 기업들의 산업구조가 이미 중국과 다층적으로 연결돼 있어 중국을 제외한 공급망을 생각한다는 게 불가능에 가깝다.
President Trump is trying to establish pressure on China and an anti-China network for re-election, but our joining here is far more damaging than good. Even if South Korean businesse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are banned from supplying semiconductors that use U.S. technologies to China, South Korean companie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will suffer greatly if memory semiconductors are applied. However, being dragged into the EPN, which deals with much broader industrial sectors, could not only damage exports to China but also expose South Korea to economic retaliation by China. "How to secure our diplomatic space in the U.S.-China conflict structure is the most important point for working-level diplomats," Ko Yoon-joo, director-general of the Foreign Ministry's North American Affairs Bureau, said at a forum at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on May 20th. Moreover, the industrial structure of our companies is already connected to China in a multi-layered manner, so it is almost impossible to think about supply chains other than China.
국내 산업계에서도 `탈중국 공급망`이라는 미국 구상에 대해 벌써부터 중국의 보복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국 측 요구에 응해 2016년 한국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결정한 이후 중국이 한국에 대해 가한 유형, 무형의 경제 보복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하는 10대 그룹 고위 관계자는 "미국이 우방국 중심의 산업 생태계나 공급망을 만들고 여기에 한국이 참여하라고 한다면 무책임한 요구"라며 "자칫하면 미국과 중국이라는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신세로 전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한미군 사드 용지로 쓰기 위해 골프장을 제공한 롯데그룹은 중국 정부의 융단폭격과 같은 경제 보복을 당하고 중국 사업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바 있다.
South Korean industries are already expressing concerns over China's retaliation against the U.S. plan to decouple the global supply chain from China. This is because China has carried out tangible and intangible economic retaliation against South Korea since South Korea decided to deploy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system in 2016 in response to the U.S. demand. "If the U.S. creates an industrial ecosystem or supply chain centered on its allies and asks South Korea to participate in it, it would be irresponsible," said a senior official at the top 10 conglomerates, who asked not to be named. "If the U.S. and China do so, they could end up bursting into a fight." Lotte Group, which provided golf courses for the U.S. Forces Korea (USFK) to use as a site for THAAD, suffered economic retaliation such at the hands of the Chinese government; massive damage to its businesses in China.
최근 트럼프 미 행정부의 중국 압박 공세는 대중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 고민을 키우고 있다. 지난 4일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반도체 수출액 중 대중국 수출액은 전체의 39.7%에 이른다. 총수출액 939억달러 가운데 373억달러가 대중국 수출이었다. 두 번째로 많은 홍콩 수출 물량 중에서도 일부는 다시 중국 내륙으로 간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 기업들 반도체 수출의 절반 가까이를 중국이 차지하는 셈이다.
The Trump administration's recent offensive against China has raised concerns among South Korean companies that are highly dependent on China. According to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s trade statistics on the 4th, 39.7 percent of Korea's semiconductor exports went to China last year. Of the $93.9 billion in total exports, $37.3 billion was to China. Considering that some of the second largest exports to Hong Kong will go back to inland China, China accounts for nearly half of Korean companies' semiconductor exports.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의 `탈중국 공급망` 구상이 당장에 우리에게 선택을 강요하는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우선 글로벌밸류체인(GVC) 전반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 다음달까지 내놓을 예정이다. GVC 핵심 관리 품목을 100개에서 338개로 확대하고 유턴 기업을 늘리며 해외 의존도를 최대한 낮추는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공식적인 루트로 미국 메시지가 산업부에 전달된 것은 없다"면서 "다만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s struggling to come up with countermeasures as it believes that the U.S. plan to decouple the global supply from China is not choice right now. First of all, there need to be plans to find a solution to the overall global value chain (GVC) and release it by next month. It will include expanding the number of key GVC management items from 100 to 338, increasing the number of U-turn companies, and reducing dependence on foreign countries as much as possible. "There has been no official U.S. message delivered to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o far," a ministry official said. "But we are closely watching the situation.”
Source: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5/523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