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언급한 대중매체기사 토픽모델분석

한반도를 둘러싼 대중 매체에 계속 초점을 맞추면서  토픽모델분석과 감정적인 분석 합쳐서 검토한다. 아래의 결과는 2018 년 2 월 1 일부터 2018 년 6 월 25 일 까지의 뉴스주기를 지배 한 주제, 정서 및 뉴스 아울렛에 대한 통찰력을 세계에서 가장 높은 47 개 영어 뉴스 아울렛의 +28,000 개 영문 뉴스 기사 데이터베이스로 분석 한 것입니다.

 In the continuation of our focus on mass media coverage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we look to the combination of topic model and sentiment analysis for insight. Analyzing a database of 28,000 + published English news articles of the top 47 English news outlets in the world the results below provide unique insight into the themes, sentiment and news outlets that dominated the news cycle from February 1st, 2018 to June 25th, 2018. 

Afinn Sentiment & Topic Model Results

Figure 1. Avg. Sentiment Score by Topic

Figure 1. Avg. Sentiment Score by Topic

Figure 2. Topic Model Results

Figure 2. Topic Model Results

위의 그림 1과 2의 토픽모델 결과는 수집 된 데이터 세트에서 발견 된 5 가지 주제를 보여준다. 먼저 그림 1을 보면 다음과 같이 알고리즘으로 분류 된 기사의 비율을 볼 수 있는데 오렌지색은 "Summits"이란 주제 41.73 %, 청록색은 "Pompeo Efforts" 18.65 %, 파란색은 "US Domestic Negative" 15.20 %, 빨간색은 "Olympics"는 13.21 %, 마지막으로 출판 된 녹색은 "China Trade & Tariffs" 이란 주제 11.21 %로 나타났다. y-axis에서 평균 afinn 감정 점수는 "Olympics" 주제가 "Summits", "Pompeo Efforts", "China Trade & Tariffs"이어 순서대로 긍정적인 감정점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US Domestic Negative" 주제 가장 부정적 감정 점수는 -5.99로 기로했다.

The topic model results above in figures 1 and 2, depicts the 5 discovered themes from the collected dataset.  Looking first at figure 1, we can see the percentage of articles categorized by the algorithm as follows: "Summits" topic in orange with 41.73%, "Pompeo Efforts" in teal with 18.65%, "US Domestic Negative" in blue with 15.20%, "Olympics" in red with 13.21% and finally the "China Trade & Tariffs" topic in green came in last totaling 11.21% percent of all published articles. On the y-axis the average afinn sentiment score shows the "Olympics" topic as the most positive, followed by "Summits", "Pompeo Efforts", "China Trade & Tariffs", and finally "US Domestic Negative" which recorded the only average negative sentiment score at -5.99. 

그림 2에 있는 토픽모델 결과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아래 발췌를 통해 식별 된 실제 기사를 더 깊이 볼 수 있다.

To better understand the topic model results in figure 2, let's dig a bit deeper to understand the actual articles identified, through the excerpts below. 

Olympics (Feb. 9th, 2018)  N. Korea's high-level Olympic delegation arrives in PyeongChang

"A North Korean delegation, including the sister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arrived in PyeongChang on Friday for the opening of the Winter Olympic Games, while the head of the high-profile delegation was also scheduled to attend a reception dinner hosted by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Summits (May 13, 2018) Trump welcomes N. Korea plan to blow up nuke-site tunnels

"North Korea said Saturday that it will dismantle its nuclear test site in less than two weeks, in a dramatic event that would set up leader Kim Jong Un's summit with President Donald Trump next month."

Pompeo Efforts (April 17, 2018) Keeping Trump's trust is key to reviving diplomacy

"If it's true that proximity to President Donald Trump is the key to effective policy-making in his administration, then Secretary of State nominee Mike Pompeo stands a good chance to succeed whatever the merit of his policies."

China Trade & Domestics (May 11th, 2018) Lotte's China dream shattered

"Seoul and Washington said the anti-missile system is only meant to counter North Korea's evolving nuclear and missile threats. But China has repeatedly pressed South Korea to withdraw the missile system out of concern that the deployment could hurt Beijing's security interests."

NK Negative (February 26th, 2018) China launches propaganda push for Xi Jinping

"China's plan for President Xi Jinping to remain in office indefinitely has sparked social media opposition, drawing comparisons to North Korea's ruling dynasty and charges of creating a dictator by a Hong Kong pro-democracy activist."

Time Series: Topics and Afinn Sentiment

Figure 3. Time Series Analysis: Topic Model Results and Afinn Sentiment Score

Figure 3. Time Series Analysis: Topic Model Results and Afinn Sentiment Score

 

"Summits"주제는 평균적으로 긍정적 인 감정 기사를 기록했지만 4.27 남북정상회담과 6.12 US미북정상회담에서 모두 긍정적인 감정 점수를 차지했다. 위의 그림 3에서 그래픽은 전체 Afinn 감정 점수를 나타내지만 그림 1에 표시된 평균은 아닌다. 이를 통해 Afinn 감정 점수의 원시 총합을 주제별로 볼 수 있다. 그림 3의 왼쪽부터 한국의 올림픽 게임에서 빨간색은 "Olympics" 주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월 28 일에 오렌지색은 "Summits" 주제는 "Olympics"주제를 다루며 2018 년 6 월 28 일까지 가장 긍정적인 주제로 다뤄진다. 파란색은 "NK Negative" 주제는 전체 데이터 세트의 거의 매일 가장 부정적 주제이다. 더 자세히 분석한 결과, "NK Negative" 주제를 구성하는 기사는 평균적으로 매우 부정적이었고 적어도 한번 이상 "북한"이라고 언급했다는 점을 제외하면 단한 가지 주제가 없었다.

 

The "Summits" topic not only on average recorded positive sentiment articles, but it also dominates during both the SK-NK Summit on April 27th and the US-NK Summit on June 12th in overall positive sentiments scores. Above, in figure 3, the graphic represents the total Afinn sentiment score and not the average as represented in figure 1. This allows us to see the raw summation of the Afinn sentiment scores by topic across time. Starting on the left side of figure 3, we can see the red colored "Olympics" topic dominate, as the highest in positive sentiment, during the olympic games in South Korea. On February 28th, the orange colored "Summits" topic over takes the "Olympics" topic and dominates as the most positive topic until June 28th, 2018, the end of the dataset.  The blue colored "NK Negative" topic dominates as the most negative topic for almost everyday of the entire dataset. After closer analysis the articles composing the "NK Negative" topic had no single theme, except that they were on average highly negative and mentioned "North Korea" at least once. 

Time Series: Afinn Sentiment

Figure 4. Time Series Analysis: Afinn Sentiment Score (Sum)

Figure 4. Time Series Analysis: Afinn Sentiment Score (Sum)

위의 그림 2의 두 번째 시간 시리즈 그래픽에서 시간에 매핑 된 전체 datatset에 대한 원시 총 감정 점수 (sum)를 볼 수 있다. 흥미롭게도 2018 년 4 월 27 일 (5,771점수) 남북정상회담은 2018 년 6 월 12 일 (4,291점수) 미북정상회담보다 영국 언론 매체로부터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In the second times series graphic, figure 4 above, we can see the raw total afinn sentiment score (sum) for the entire datatset mapped across time. Interestingly, the SK-NK Summit, on April 27, 2018 (5,771) recorded a significantly greater positive reaction from English news media outlets than the US-NK Summit on June 12th, 2018 (4,291).

 

그 결과는 예상대로 한국 올림픽, 남북정상회담 및 미북정상회담에 긍정적이었다. 다음 및 마지막 섹션에서 저자는 아래의 시각화를 통해 상위 5 개 소스 (뉴스 아울렛) 순위를 5 가지 주제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정렬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한다. 빨간색에서 파란색까지의 색상은 출처 및 주제에 대한 평균 감정 평가 점수를 나타낸다.

The results were, as expected, positive toward the Olympics in South Korea, SK-NK Summit, and the US-NK Summit. In the next and final section the authors, through the visualizations below, provide an in-depth analysis of the top ten sources (news outlets) rank ordered by the highest percentage of each of the 5 topics. The color, from red to blue, represents the average afinn sentiment score for the source and topic.  

Figure 5. Most positive days rank ordered. 

Figure 5. Most positive days rank ordered. 

Topics & Afinn Sentiment by Source

Screen Shot 2018-07-28 at 9.47.35 AM.png

China Trade Topic

Screen Shot 2018-07-28 at 9.48.10 AM.png

Summits Topic

위의 "China Trade Topic"시각화 "ft.com", "cnbc.com"및 "msn.com"은 "China Trade & Tariffs"로 분류 된 기사 중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으며 세 가지 "ft. com "의 기사는 정서적으로 평균 부정적이다. "Summits Topic" 시각화는 "Summits"으로 분류 된 10 개 출처의 상위 7 개를 한국에 표시하고 평균적으로 모두 정서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낸다.

In the above "China Trade Topic" visualization "ft.com", "cnbc.com", and "msn.com"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of articles categorized as "China Trade & Tariffs", and of the three only "ft.com"'s articles are on average negative in sentiment. The "Summits Topic" visualization clearly shows the top seven of the ten sources, categorized as "Summits", to be located in South Korea and all, on average, positive in sentiment. 

Screen Shot 2018-07-28 at 9.48.45 AM.png

Pompeo Efforts Topic

Screen Shot 2018-07-28 at 9.49.31 AM.png

NK Negative Topic

 

"vox.com", "huffingtonpost.com" 및 "latimes.com"을 제외한 평균 긍정적인 감정 점수에 기록 된 "Pompeo Efforts"로 분류 된 상위 10 개 출처는 평균 감정 점수에서 음수로 나타났다. 다섯 가지 주제 중 전반적인 평균 부정적 감정 점수가 유일한 항목인데, "NK Negative" 주제의 상위 10개 카테고리 소스는 모두 한국 이외의 지역에있는 모든 뉴스 아울렛이다. 흥미롭게도 위의 "NK Negative Topic" 시각화의 상위 10개 안에 있는 유일한 출처는 뉴스 출처 "politico.com"이다.

The top ten sources categorized as "Pompeo Efforts" all recorded on average positive sentiment scores, except for "vox.com", "huffingtonpost.com", and the "latimes.com", which were found to be negative in average sentiment scores.  With the only overall average negative sentiment score amongst the five topics, the "NK Negative" topic's top ten categorized sources are all news outlets headquartered outside of South Korea. Interestingly, the only source within the top ten of the "NK Negative Topic" visualization above, is the news source "politico.com". 

Screen Shot 2018-07-28 at 9.50.05 AM.png

Olympics Topic

Screen Shot 2018-07-28 at 9.47.17 AM.png

 

위의 최종 시각화는 분석으로 분류 된 "Olympics"기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상위 10 개 뉴스 콘센트를 보여준다. 모든 뉴스 아울렛 또한 높은 평균 긍정적인 감정 점수를 보여준다.

The final visualization above, depicts the top ten news outlet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Olympic" articles categorized by the analysis. All of the news outlets also show a high average positive sentiment score. 

 

마이클 람브라우 (Michael Lammbrau) 박사와 옌 블리 콕스 (Ms. Jenbli Cox)는 자동화 된 텍스트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대 북한 토론 : 당신은 제국주의 자라고 주장 하는가?"라는 제목의 현행 원고에서이 발췌문을 제공 할만큼 충분히 친절했다. 이 연구는 2018 년 2 월 1 일부터 2018 년 6 월 25 일까지 47 개 언론 매체를 대상으로 한 북미 관계를 분석하다.
-Using automated text analysis techniques, Dr. Michael Lammbrau and Ms. Jenbli Cox, were kind enough to provide this excerpt from their current manuscript entitled, "The Great North Korea Debate: Do you argue like an imperialist?" The work analyzes coverage of North Korea-US relations from 47 media outlets during from February 1st, 2018 to June 25th, 2018. 

 

서울 리더십: 한류 타기

우리 아리랑 인스티튜트 미국 대표, 마이클 람브라우 박사는 2018년 7월 12일에 Institute of World Politics에서 "Seoul Leadership, Seoul Power: Riding the Korean Wave" (서울 리더십, 서울의 힘: 한류 타기) 이란 강연을 했다.

세계 정치 연구소 (Institute of World Politics)는 주요 국가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설립 된 독립적인 대학원이다. 다른 학교에서는 제공하지 않은 직접 경험한 전체 경력을 제외하고는 소수의 인력만 확보하는 국가공예, 국가안보, 및 국제문제에 대한 전문교육을 공급하고자 한다. 

The Institute of World Politics is an independent graduate school founded to fill a major national need: to supply professional education in statecraft, national security, and international affairs that no other school offers and that few people acquire except through an entire career of on-the-job experience.

세계 정치 연구소 (Institute of World Politics)

세계 정치 연구소 (Institute of World Politics)

DSC08602 2.jpg
대학원 모집 담당 부사장 Mr. Tim Stebbins는 입문 발언함.

대학원 모집 담당 부사장 Mr. Tim Stebbins는 입문 발언함.

마이클 람브라우 박사는 강연함

마이클 람브라우 박사는 강연함

람브라우 박사는 촛불 혁명의 대량 평화 시위, 박 대통령 탄핵 및 평화와 번영을위한 새로운 노력으로 상징되는 새롭고 획기적인 과정을 이끌어 낸 동기, 욕망 및 요인에 대한 독특한 역사적 분석을 제공했다.

Dr. Lammbrau provided a provided a unique historical analysis on the motivation, desires, and factors that led to the mass peaceful demonstrations of the Candlelight Revolution,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and a dramatic new course, symbolized by the renewed efforts for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람브라우 박사는 "최근의 평화와 번영을위한 노력은 한민족의 의지와 상상력, 그리고 욕망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인들의 의지 ... 촛불 혁명은 반미가 아니었고, 반부패와 반경기 침체였다. 부패 스캔들이 전국에 알려짐에 따라 청소년 세대의 좌절감과 불만이 길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자격증이 무조건 있어야되는 나라, 공무원이나 공공 지도자가 되고자면, 오랫동안 열심히 공부해야되고 매우 어려운 시험을 통과한 후에 자격증이 있는 후에 공무원으로 일을 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국가에서 국민에게 자격증 없는 최순실은 당연히 주목을  받았고 부패와 위선이 너무 많았으나 정의와 책임을 요구하는 국민의 외침소리가 일어났다. 매주 평화적인 대량 시위에서 목소리를 냈다."
Dr. Lammbrau stated, "The credit for the recently renewed efforts for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direct result of the will, imagination, and desire of the Korean people.  Trump, Moon, Kim, Xi were merely a reflection the Korean people's will...the Candlelight Revolution was not anti-American, it was anti-corruption, anti-stagnation.  The frustration and discontent of the youth generation spilled out into the streets as word of unqualified individuals, seemingly pulling the strings of the highest public office in the country, spread. In a country where credentials matter, where students study for years to pass extremely difficult exams to become civil servants and public leaders, the corruption and hypocrisy was too much, and the cry for justice and accountability found a voice in the weekly, peaceful mass demonstrations." 
DSC08777.jpg
DSC08385.jpg

람브라우 박사는 한국의 새로운 길을 향한 논평으로 강연을 마무리했다. Google Trends에서 파생 된 시각화를 사용하여 검색 용어 빈도를 비교하여 전세계에 있는 한국어 사용자의 관심과 소망에 대해 논의했다.

Dr. Lammbrau closed with a commentary on Korea's renewed path forward. Using visualizations derived from Google Trends he discussed the interests and desires of the Korean speaking people worldwide represented in a comparison of search term frequency. 

Figure 1. 미국의 Google 트렌드 검색 결과 시각화

Figure 1. 미국의 Google 트렌드 검색 결과 시각화

Figure 2. 세계의 Google 트렌드 검색 결과 시각화

Figure 2. 세계의 Google 트렌드 검색 결과 시각화

람브라우 박사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향한 한국인들의 열망은 부인할 수 없다"며 '통일'이라는 검색어는 이 문제와 관련된 다른 모든 검색어를 지배했다. "'비핵화'또는 '북한인권'에 비교하면 '통일'은 전 세계적으로 구글의 검색 엔진을 이용하는 한국 사람들의 꿈 또는 초점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Dr. Lammbrau stated, "The Korean speaking people's desire towards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is undeniable. The search term unification, "통일", dominated all other search terms related to this issue. Whether compared with "denuclearization" or "north korean human rights", "unification" remains the dream or focus of the Korean speaking people utilizing Google's search engine worldwide."
"이제 외교 정책 전문가, 학자, 운동가들은 '유엔 제재는 어떻습니까?' '인권에 관한 끔찍한 기록은 어땠습니까?'" 요구하겠지만 내가 말하는것은 영어를 말하는 청중들에게 그 이슈들이 최대한 중요하다는 점에 동의한다. 외교 정책 워싱턴 전문가들에게 중요성은 크지만 전세계적으로 한국어를 말하는 사람들에게 초점은 아니다."
"Now foreign policy experts, academics, and activists will scream, what about the UN sanctions? What about the horrendous track record of human rights abuses? ... and I agree, to an English Speaking audience, those issues are important, of utmost importance to the DC foreign policy expert crowd, but they are not the focus of the Korean speaking people writ large."
마이클 람브라우 박사가 폐회사 및 질문과 답변

마이클 람브라우 박사가 폐회사 및 질문과 답변

람브라우 박사는 정책 전문가들이 북한과의 새로운 '안보 보장'을 통해 한미 동맹과 미국의 안보와 안정을 제공하는 역할을 다시 생각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Dr. Lammbrau closed the seminar highlighting the need for policy experts to reimagine the US-Korea alliance and America's role in providing security and stability in the region through a possible new "security guarantee" with North Korea. 

람브라우 박사는 "한국의 전문가, 학계 및 시민과 함께 일하면서 북한이 미국과의 안보 동맹을 원할 가능성이 있다는 알게된 사실에 놀랐다. 미국은 5 천년 된 일본과 중국의 투쟁에서 새로운 변수이다. 한국은 100 년전 미국의 지원을 원했고 오늘은 그것을 원한다. 동아시아에서의 미국의 존재는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필수 불가결하다."고 말했다.
Dr. Lammbrau stated, "In my work with experts, academics, and citizens in Korea, I was shocked to discover the very real possibility that North Korea desires a security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I was told, 'The US is the new variable to the 5,000 year old struggle between Japan and China for Korea. Korea desired America's support 100 years ago and they desire it today. America's presence in East Asia is essential to peace and stability in the region.'"

언론 데이터 분석: 북미정상회담에 세계 주요 영문 매채 긍정적인 반응 없었다.

초당적 성향과 "가짜 뉴스"라는 분위기 속에서 언론의 서술에 대한 제도적 골조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있다. 2018 년 2 월 1 일부터 2018 년 6 월 25 일까지 북한 관련 언론 보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북한"에 관한 모든 뉴스 기사를 수집하여 전 세계 국가 및 국제 뉴스 매체의 130,619 편의 뉴스 기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정서, 네트워크 및 주제 모델 분석을 위해 25 개의 뉴스 아울렛을 선택했다.

In a climate of hyperpartisanship and “fake news” much attention is being paid to institutional framing of media narratives. To better understand English media coverage related to North Korea we compiled and analyzed 130,619 articles from national and international news outlets worldwide from February 1st, 2018 to June 25th, 2018. From this database, we selected 25 news outlets for sentiment, network, and topic model analysis. 

아래의 결과에서 우리는 선택한 뉴스 콘센트의 정서 점수와 3 개의 다른 기간 동안 선택된 모든 뉴스 콘센트에 대한 평균 평균 정서에 집중하다.  아래의 첫 번째 시각화 섹션은 2018 년 2 월 1 일에서 2018 년 6 월 25 일 사이에 게시 된 모든 뉴스 기사의 결과를 보여준다.

In the results that follow we focus solely on the sentiment scores of our selected news outlets and the aggregate average sentiment for all selected news outlets for three different time period. The first visualization section below depicts the results of all news article published from February 1st, 2018 to June 25th, 2018.  


일일 평균 감정 점수 (2018.2.1 - 2018.6.25)

Figure 1. Daily Average Sentiment Score (2018.02.01 - 2018.06.25) 

Figure 1. Daily Average Sentiment Score (2018.02.01 - 2018.06.25) 

Figure 2. Rank Ordered by Positive Sentiment Score

Figure 2. Rank Ordered by Positive Sentiment Score

놀랍게도 미국의 주요 뉴스 매체 중 보스턴 글로브 (Boston Globe)와 USA 투데이 (USA Today)만이 긍정적 인 평가를 위해 주문한 상위 10 개 뉴스 채널을 깰 수있었다. 상위 10 위 안에있는 모든 주요 뉴스 매체는 동아시아 출신이었고 대다수는 5 명이었고 한국에있었다. 위와 왼쪽의 시각화를 살펴보면 부정적 정서에 따라 뉴스 콘센트를 깔끔하게 순위지었다. 부정적 정서로 주문 된 상위 10 개 뉴스 콘센트 순위에는 한국에있는 단일 뉴스 콘센트가 없다. 일본계 투데이 12 위는 동아시아에 위치한 유일한 뉴스 콘테스트로, 상위 10 위의 부정적인 뉴스 콘센트에 점수를 매기고 전반적인 점수는 0 점이다.

Surprisingly, out of all the major US news outlets, only the Boston Globe and USA Today were able to crack the top 10 news outlets rank ordered for positive sentiment. All major news outlets in the top 10 for positive sentiment were from East Asia, with the majority, five, located in South Korea. If we look to the visualization above and to the left we have neatly rank ordered our news outlets according to negative sentiment. Within the top ten news outlets rank ordered for negative sentiment there is not a single news outlet located in South Korea. Japan Today, ranked 12th, is only news outlet located in East Asia to score close to the top ten negative news outlets with an overall score of zero. 

상위 3 개의 긍정적 인 감정 점수 일 - Top 3 Positive Sentiment Score Days

April 27th, 2018 - South Korea - North Korea Summit

March 31, 2018 - K-Pop Concert in North Korea

February 12th - Pro-Unification Concert in Seoul

 

Figure 3. Daily Published News Articles (2018.02.01 - 2018.06.25)

Figure 3. Daily Published News Articles (2018.02.01 - 2018.06.25)

재미있게도, 전체 데이터베스에 북미정상 회담의  (2018년6월12일) 날에는 가장 많이 기사를 출판했지만 긍정감정 점수에 따라서 상위 20 날 위 안에 들 수 없다.

Interestingly, even though June 12th, 2018, the day of the US-NK Summit, recorded the most published articles, it did not make the top 20 days ranked ordered according to positive sentiment, with a score of 5.20 for the entire database.  

상위 3 개의 긍정적인 감정 점수 일 - Top 3 Negative Sentiment Score Days

April 6th, 2018 - NK could attack the US by summer

May 29th, 2018 - US-NK summit back on

May 19th, 2018 - Trump pressed to put hacking on North Korean summit agenda

 

기사 감정 점수에 기여하는 주요 용어

Figure 4. Top terms contributing to sentiment scores (2018.02.01-2018.06.25).

Figure 4. Top terms contributing to sentiment scores (2018.02.01-2018.06.25).

위의 그림 4에서 시각화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정서 점수 결과에 가장 기여하는 용어를 묘사하다. 거의 우스꽝스럽게도 "전쟁"이라는 용어는 부정적 정서를 지닌 기사에 기여하는 요인이며 "평화"라는 용어는 긍정적 인 감정을 가진 기사의 수이다. 계속해서 아래에서 우리는 감정 분석 결과에 대해 두 가지 더 자세한 분석을 제공하다.

Above, in figure 4, the visualization depicts the terms that contribute most to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entiment score results. Tolstoy would be proud, the term "war" is the number one contributing factor to articles with negative sentiment and the term "peace" is number for articles with positive sentiment. Continuing on, below we provide two more breakdowns of our sentiment analysis results.  

일일 평균 감정 점수 (May 1 - May 29)

Figure 5. Daily Average Sentiment Score (2018.05.01 - 2018.05.29) 

Figure 5. Daily Average Sentiment Score (2018.05.01 - 2018.05.29) 

위의 첫 번째 시각화는 2018 년 5 월 1 일부터 2018 년 5 월 29 일까지의 정서 점수 결과를 나타낸다. 5 월 한 달 동안 조선 영어 뉴스 아울렛은 뉴스 기사 게재를위한 평균 부정적인 감정 점수를 기록한 유일한 한국의 뉴스 아울렛이다. 부정적 정서 점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 순위표의 나머지 부분은 한국 이외의 언론사에 의해 대표된다.

The first visualization above represents the sentiment score results from May 1st, 2018 to May 29th, 2018. For the month of May, the Chosun English News Outlet is the only South Korean news outlet that records an average negative sentiment score for publish news articles. The rest of the list, rank ordered by negative sentiment scores, is represented by non-South Korean news outlets. 

일일 평균 감정 점수 (May 30 - June 25)

Figure 6. Daily Average Sentiment Score (2018.05.30 - 2018.06.25) 

Figure 6. Daily Average Sentiment Score (2018.05.30 - 2018.06.25) 

그림 6에서 6 월 한 달 동안 압도적으로 긍정적 인 감정 결과를 볼 수 있다. 한국인과 비 한국인 모두 거의 긍정적 인 감정으로 구성된 기사를 발표했다. 평균 부정적인 감정 점수를 기록한 유일한 뉴스 매체는 (1) Pravda Report, (2) Huffington Post, (3) Press TV, (4) BBC.

Above in Figure 6, we can see the overwhelmingly positive sentiment results for the month of June. Both South Korean and non-South Korean alike published articles comprised of mostly positive sentiment.  The only news outlets that recorded an average negative sentiment score were as follows: (1.) Pravda Report, (2.) Huffington Post, (3.) Press TV, and the (4.) BBC

한반도 관련 보도 자료에 중점을 둔 미디어 분석 시리즈 중 첫 번째 사례이다.이 첫 번째 기사에서는 영어 콘텐츠에 대한 정서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앞으로 우리는 주제 모델과 네트워크 분석을 결합하여 전 세계에 걸쳐 의견 차이 확산에 대해보다 깊이 파고들 것이다. 다음 연재에서는 정서의 기원과 어떤 네트워크를 통해, 얼마나 빠르게 확산되는지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This is the first of an on going media analysis series focused on reporting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first installment, we focused on sentiment analysis of English content. Looking forward, we will begin to dive deeper into opinion diffusion across the world through a combined use of topic model and network analysis. In this next installment, we will track the origins of the sentiment and over what networks and how quickly they spread. 

 
-마이클 램브라우 (Michael Lammbrau) 박사와 옌 블리 콕스 (Ms. Jenbli Cox)는 자동화 된 텍스트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대 북한 토론 : 당신은 제국주의 자라고 주장 하는가?"라는 제목의 현행 원고에서이 발췌문을 제공 할만큼 충분히 친절했다. 이 연구는 2018 년 2 월 1 일부터 2018 년 6 월 25 일까지 47 개 언론 매체를 대상으로 한 북미 관계를 분석하다.
-Using automated text analysis techniques, Dr. Michael Lammbrau and Ms. Jenbli Cox, were kind enough to provide this excerpt from their current manuscript entitled, "The Great North Korea Debate: Do you argue like an imperialist?" The work analyzes coverage of North Korea-US relations from 47 media outlets during from February 1st, 2018 to June 25th, 2018. 

한반도 보복정치 및 화해: 용서하는 길을 찾아야된다

Saint Paul's Cathedral에서 남북 화해 및 보복정치에 대한 강연하는 아리랑 인스티튜트 미국대표 람브라우 박사

Saint Paul's Cathedral에서 남북 화해 및 보복정치에 대한 강연하는 아리랑 인스티튜트 미국대표 람브라우 박사

2018년 3월 4일에 Saint Paul's Cathedral에서 아리랑 인스티튜트 미국대표 마이클 람브라우 박사는 남북 화해 및 보복정치에대한 강연을 했다.  Saint Paul's Cathedral의 5주간 세미나 시리즈로 국가간 화해 및 보복정치에 대한 주제로 왜 화해를 택하는 길로 우리 사회에 가장 안정적이고 최선한 미래 있는 길에 대해 논의 했다. 남한 보복정치 역사를 보면서 이 보복정치 악순환에 끊임없이 빠지는 추세에서 벗어나야겠다는 주장을 했다. 벗어나지 못한다면 끊임없는 보복정치 악순환에 빠져버릴 수 밖없고 앞으로 사회에 신뢰성 떨어지며 경제발전까지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south-korea-7591.jpg
impeachment

"그때는 제가 광화문근처에 있었는데, 위 왼쪽에 있는 사진처럼 하는 시민들은 10% 밖에 없었다. 거기에 있는 사람들은 그냥 평화스러운 노래를 부르면서 가족, 친구들과 함께 촛불 들고 더 밝힌 미래를 같이 바라는 모습일 뿐였다고 본다. 화를 낸 채로 데모 하는 모습 보일 수 있는 시민들은 10%밖에 없었다고 본다." ~미국대표 람브라우 박사

끊임 없는 보복정치

"최근에 중국에 관한 뉴스를 보면 보복정치를 두려워해서 독재주의를 택하는 길 씨진핑을 이해 할 수 있다. 더 안정적인 밝힌 사회를 위한 옳바른 길 아니지만, 제기가 제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평생 내내동안, 죽을때까지 정권을 가져야, 독재주의로 해야 아니면, 보복정치로 체포되버린다. 대신에 성경 두번 Cain and Abel 이란 이야기를 보면 하느님 처럼 Abel 동생을 살인한 Cain 형을 보복하지 않고 망신만 시키고 평생 내내 동안 망신스럽게 사는 것으로 충분한 처벌로 더 나을 것으로 보일 수있다. 왜냐면 보복하면 보복할 수록 끊임없는 폭행적인 악순환에 빠지고 사회까지 망해버릴 수있다. 용서하는 길을 찾아야된다." ~미국대표 람브라우 박사

Cain and Abel 장면

Cain and Abel 장면